프로젝트/DevLink

[프로젝트] 설계하기 - 프로젝트 환경 맞추기 + 프로젝트 멘토링 ( 2023.12.06(수) )

IT록흐 2023. 12. 7. 03:56
반응형

 

작업한 것

 

-  프로젝트 백엔드 환경 맞추기 

 

Version

  • Spring Boot: 2.7.7
  • Java 11
  • QueryDSL 5.0.0

 

Package & Naming

  • config
  • util
  • controller
    • PageController
    • ResponseEntity.status().body();
  • service
    • 인터페이스(PageService) → 구현(PageServiceImpl)
  • repository
    • PageRespository
    • extends JpaRepository
  • dto
    • PageDto
  • vo
    • request
    • response

 

- 개발 

 

1) ERD 및 API 설계에 맞는 스펙으로 채팅서비스 리팩토링 

2) 스프링부트 내부에서 제공하는 SimpleMessageBroker는 서버 내부에 topic이 있다. 만약 서버가 2개 이상이라면 topic을 구독한 클라이언트는 다른 서버로 들어온 요청메세지를 전달받지 못할 수 있다. 그러므로 Kafka를 활용하여 동기화 작업을 하려고 한다.

 

 

 

 

배운 것

프로젝트 멘토링 

 

프로젝트 관련 멘토링 정리

 

1) 프론트 엔드는 서바사이드 쪽에 파드를 띄우는 것을 추천한다. 

2) RDS는 비용이 걱정된다면 사용할 필요 없다. PV, PVC로 구현해도 충분하다. RDS는 오버스펙인 것 같다.

3) istio를 사용하면 좋지만 노하우가 중요한 기술이다. 설치는 간단하지만 면접에서 질문받을 때 당황할 수 있다.

4) 쿠버네티스 기술을 사용하는데 모놀로식 개발은 오버엔지니어링이다. 

 

그 외 멘토링 정리

 

1) 개발보다는 일 잘하는 것이 중요하다. 회사는 개발자 보다 문제해결을 잘하는 사람을 좋아한다. 

2) 주니어나 신입 면접에서는 지식이 많은지를 보지 않는다. 기본적인 내용을 알고 있고 얼마나 논리 정연하게 대답하는 지를 주로 본다.

3) 회의를 잘하는 팁은 회의 들어가기 전에 미리 할 이야기를 정리해야 한다. 정리가 안되면 말의 두서가 없어 듣는 사람도 피곤하다. 공유할 내용이 많으면 수미상관을 사용하면 좋다. 결론부터 말하고 내용을 말한 뒤 다시 결론을 말해야 다른 사람이 집중하기 쉽다. 

4) 쿠버네티스CKA 자격증은 일하다 보면 만나는 내용을 다루어 누구나 따는 자격증이다. 만약 쿠버네티스를 처음 접한다면 자격증으로 접근하는 것도 좋다. 어차피 실무에서 모두 사용하는 내용이라 단기간 핵심만 공부하기 좋다. 

5) 데브옵스 엔지니어는 신입이 가기 힘들다. 경력직을 많이 뽑는다. 좋은 회사를 어린 나이에 들어가려면 인턴쉽을 활용하는 것이 좋다.

6) 코딩테스트는 리트코드를 많이 풀었다. 1년 잡고 주중에 1개씩 많으면 3개씩 풀었다.

 

이슈

 

없음

 

마무리

 

멘토링을 받은 후 희망이 보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