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NETWORK 22

인터네트워킹(Internetworking)

인터네트워킹이란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것을 의미한다. 연결을 위해서는 네트워크와 네트워크 사이에 장비가 필요한데, 이를 게이트웨이(Gateway)라고 부른다. 게이트웨이의 종류는 네트워크가 OSI 어느 계층의 네트워크이냐에 따라 달라진다. 이더넷 네트워크 방식을 채택하는 OSI 2계층 LAN의 경우 LAN과 LAN의 연결은 보통 스위치가 담당한다. 인터넷에 해당하는 OSI 3계층의 WAN의 경우, LAN과 WAN의 연결을 보통 라우터가 담당한다. LAN - LAN 인터네트워킹 회사 A의 LAN은 총무부 LAN, 영업부 LAN, 생산부 LAN이 인터네트워킹 되어 구성된 LAN이다. 보통 LAN은 이더넷 방식을 채택하기에 스위칭 허브를 게이트웨이로 많이 사용한다. 이더넷 방식은 Media Acces..

CS/NETWORK 2021.06.24

LAN, WAN 그리고 MAN

LAN은 Local Area Network 이고 WAN은 Wide Area Network이다. LAN이 모여 WAN이 된다. LAN은 개인이나 회사가 설치하는 네트워크이고 WAN은 KT, LG, SKT 같은 통신회사가 서비스 목적으로 설치하는 네트워크이다. 그럼 작은 단위인 LAN부터 살펴보자. LAN(Local Area Network) 거의 대부분의 LAN은 이더넷 방식을 사용한다. 이더넷 방식을 사용하는 이유는 싸고 단순해서이다. LAN은 OSI 2계층에 포함된다. OSI 2계층의 프로토콜의 가장 큰 목적은 MAC 주소가 가리키는 장비를 찾아가는 것이다. 한 마디로 얼마나 정교하고 정확하게 오류없이 데이터를 전송하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얼마나 신속하게 목적지에 도달하느냐가 중요하다. 그러므로 복잡..

CS/NETWORK 2021.06.24

교환 시스템(Switching)

한글에서 '교환'은 서로 주고 받는다는 의미다. 하지만 교환 시스템을 영어로 하면 Switching이다. '스위칭'이란 네트워크에서 적절한 경로를 선택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엄밀히 말하면 '교환'과는 다른 의미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데이터가 한쪽 호스트에서 다른 호스트로 이동하는 스위칭 시스템에 대해서 다루어 볼까 한다. 회선교환방식(Circuit Switching)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호스트 간의 물리적인 회선을 설치하는 방식이다. Circuit은 물리적으로 연결된 하나의 회선을 의미한다. 회선 하나가 고정적으로 존재하기에 보낼 수 있는 데이터 양도 고정적이다. (고정 대역폭) 디지털 음성을 지원하기 위해 개발되었지만 현재는 인터넷 접속에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T급 회선시스템(T-Carri..

CS/NETWORK 2021.06.24

TCP/IP 모델

개발자는 OSI 5계층, 6계층, 7계층 영역을 코딩한다. 어떤 기능을 넣을 것인지(7계층), 어떻게 인코딩하고 암호화 할 것인지(6계층), 어떻게 동기화 할 것인지(5계층)를 코딩한다. 하지만 전송계층(4계층)에는 접근하지 못한다. 4계층 전송계층 영역의 프로토콜 TCP와 UDP 프로토콜은 OS 내부에 구현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4계층으로 통하는 인터페이스에 접근해야한다. 그것이 우리가 잘 아는 소켓(Socket)이다. ( TCP와 IP는 OS마다 동일하지만 LAN카드는 종류별로 다름으로 종류에 맞는 드라이버 루틴(인터페이스)를 갖는다. ) 대부분의 운영체제는 TCP/IP 모델을 사용한다. TCP/IP는 미국 국방성이 만든 전송모델이다. 과거에는 MS사가 만든 NETBEVI나 IPX/SP..

CS/NETWORK 2021.06.21

OSI 7계층 기본 정리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7계층은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국제표준화기구가 네트워크 통신 모델로 개발한 모형이다. 이전 포스팅에서 네트워크 기본용어를 정리하면서 프로토콜을 정리했었다. 프로토콜은 계층 간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절차적 순서를 담은 통신 규약이다. OSI 7계층은 계층 간 적용되는 프로토콜이 따로 있다. 이는 계층 별로 적용되는 데이터 해석방식이 모두 다르다는 의미다. 이런 것을 두고 '모듈화'라고 한다. 통신이 이루어지는 시스템은 거대하다. 거대한 시스템을 기능 별로 나누어야 관리가 용이해진다. 그 분류 기준이 '프로토콜(Protocol)'이 된다. 각 계층은 상하위계층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두고 소통한다. 그..

CS/NETWORK 2021.06.21

Network 기본용어정리

네트워크 네트워크는 데이터를 교환하는 시스템의 모음이다. 데이터를 교환하려면 데이터를 이동시킬 전송매체가 필요하다. 시스템은 데이터를 처리하지만 전송매체는 신호를 처리된다. 서로 다른 환경이므로 시스템과 전송매체 사이에는 조율을 담당할 구역이 필요하다. 그것이 인터페이스다. 우리가 잘 아는 LAN카드는 Network Interface Card로 인터페이스 역할을 담당하다. RS-232C, USB도 인터페이스에 해당한다. 네크워크의 일부를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시스템 일반적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노드(Node)라고 한다. 데이터를 주고 받는 기능과 더불어, 컴퓨팅 기능(연산기능)도 있는 노드를 호스트(Host)라고 한다. 호스트에는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있다. 클라이언트는 서비스를 제공..

CS/NETWORK 2021.06.21

다중화기(Multiplexer)

전송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하나의 전송매체에 여러 시그널을 함께 보내야한다. 그렇다고 무작정 여러 시그널을 동시에 보내면 간섭현상이 일어나 데이터가 변형된다. 그러므로 송신 측에서는 여러 시그널을 하나로 합친 시그널을 만들어야한다. 그리고 수신측에서는 해당 시그널을 다시 여러 개의 시그널로 분류해야한다. 여러 시그널을 하나의 시그널로 만드는 장치 : Multiplexer(MUX) 하나의 시그널을 여러 시그널로 분류하는 장치 : DeMultiplexer(DMUX) 다중화 기술 ( Multiplexing ) TDM (Time Division Multiplexing) TDM은 디지털 시그널에서 사용되는 멀티플렉싱 방식이다. 시간단위로 나누어, 여러 채널의 시그널의 일부를 모아 하나의 프레임으로 만들기 때문..

CS/NETWORK 2021.06.21

시그널 기본 용어

Bandwidth ( 대역폭 ) 대역폭은 주어진 시간에 얼마나 많은 데이터를 보낼 수 있느냐를 의미한다. 대역폭을 측정하는 기준은 시그널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시그널의 종류는 두 가지가 있다. 1. 아날로그 시그널 아날로그 시그널은 WAN, 라디오 같이 멀리 보낼 때 사용하는 연속적인 시그널이다. 아날로그 시그널에 정보를 담는 방법은 3가지가 있다. 1. 진폭(Amplitude) 의 변화 ( AM 라디오) 2. 진동수(Frequency)의 변화 ( FM라디오, WAN ) 3. 위상(Phase)의 변화 ( PM ) 3가지 모두 '하나의 파장'을 이용한다. 하나의 파장의 진폭의 변화나 파장의 개수, 파장의 모양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러므로 시간당 보내는 파장의 개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진폭을 변화시..

CS/NETWORK 2021.06.21

시그널 변환

데이터는 멀리 가지 못한다. 전기적 흐름에 '변화'를 주어 '시그널'을 만들어야 빠르게 멀리 갈 수 있다. 데이터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 1. 아날로그 데이터 (목소리, 비디오 테이프...) 2. 디지털 데이터 (1000111011...) 시그널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 1. 아날로그 시그널 2. 디지털 시그널 어떤 데이터를 어떤 시그널로 만드냐에 따라 특징과 용도가 달라진다. 시그널 변환의 종류 디지털 데이터(DD) -> 디지털 시그널(DS) 01010111 디지털 데이터를 0010110의 디지털 시그널로 바꾸는 것이다. 기존의 데이터를 그대로 시그널로 바꾸기 때문에 주파수를 변조시킬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Baseband(기저대역) 전송방식인 LAN 이더넷이 이에 해당한다. 디지털 데이터(DD)..

CS/NETWORK 2021.06.21

데이터 링크 계층(DataLink Layer)

실질적인 정보전송은 물리계층이 한다. 그럼 데이터 링크계층(2계층)은 어떤 일을 할까? 데이터 단위 ( 프레임 ) 물리계층에서 데이터가 전달될 때 비트단위로 전송되지만 프레임 단위로 구분되어 전송된다. 프레임은 캡슐화(Encapsulation)된 비트열이다. 캡슐화를 이해하려면 우주선을 이해하면 된다. 프레임은 OSI 1계층에서 7계층까지 가는 하나의 우주선이다. 화성으로 가는 우주선은 1단 추진로켓으로 추진력을 얻다가 적정궤도에 오르면 1단 추진로켓을 분리시킨다. 그리고 2단 추진로켓을 작동시켜 다시 추진력을 얻다가 2단 추진로켓도 분리시킨다. 이처럼 각 계층에 헤더는 본인 계층에 도달하기 위한 중요한 추진력을 갖고 있다. 그리고 해당 계층에 도달하면 헤더를 분리시키고 다음 계층으로 이동한다. 그럼 2..

CS/NETWORK 2021.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