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대의 Kubernetes 클러스터를 운영할 때는 각 클러스터의 컨트롤 플레인에 개별적으로 접속해 kubectl을 실행하기보다, 단일 관리 지점에서 kubectl로 통합 제어하는 방식이 관리 효율성과 보안 측면에서 더 유리하다. kubectl 패키지는 ~/.kube/config 파일에 담긴 인증정보로 Cluster에 접근하는데, 이를 Context 단위로 관리한다. kubectl Context는 두 가지 정보로 이루어진다. 1) 클러스터2) 유저 config에 클러스터 등록하기 kubectl과 K8S 클러스터는 TLS 통신을 한다. kubectl 서버는 클러스터에서 보낸 데이터가 정말 클러스터에서 보낸건지 검증을 해야한다. 그래서 클러스터에서 공식으로 발급한 CA PublicKey를 가지고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