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저장소
데이터저장소는 데이터들을 논리적인 구조로 조직화하거나, 물리적인 공간에 구축한 것을 의미
- 논리 데이터 저장소 : 데이터 및 데이터 간의 연관성, 제약조건을 식별하여 논리적 구조로 조직화
- 물리 데이터 저장소 : 논리 데이터 저장소를 물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실제 저장장치에 저장한 것
데이터베이스
공동으로 사용될 데이터를 중복을 배제하여 통합한 뒤 저장장치에 저장하여 쉽게 접근가능하도록 운영하는 운영데이터
- 통합된 데이터(Intergrated Data) : 중복을 배제한 데이터 모임
- 저장된 데이터(Stored Data) : 저장매체에 저장된 자료
- 운영 데이터(Operational Data) : 조직의 고유한 업무를 수행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자료
- 공용 데이터 (Shared Data) : 여러 응용 시스템들이 공동으로 소유하고 유지하는 데이터
DBMS ( DataBase Management System )
DBMS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정보를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해주는 소프트웨어
기존의 파일시스템의 종속성과 중복성의 문제 해결을 위한 시스템
필수 기능 3가지
- 정의(Definition) 기능 : 데이터의 형과 구조에 대한 정의
- 조작(Manipulation) 기능 : 데이터 검색, 갱신, 삽입, 삭제 등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 제어(Control) 기능 : 데이터의 무결성, 보안, 권한 검사, 병행 제어를 제공
데이터 독립성
- 논리적 독립성 :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베이스를 독립시킴으로써 종속성을 없앰
- 물리적 독립성 : 디스크를 추가/변경하더라도 응용프로그램은 영향받지 않음
스키마
데이터베이스 구조와 제약조건에 대한 전반적인 명세를 기술한 것
- 외부 스키마 :
개인의 입장에서 필요한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를 정의
- 개념 스키마 :
데이터베이스의 전체적인 논리적 구조
모든 필요한 데이터를 종합한 조직 전체의 데이터베이스, 하나만 존재
- 내부 스키마 :
물리적 저장장치 입장에서 본 데이터 구조
실제로 저장될 레코드 형식이나 내부 레코드의 물리적 순서를 나타냄.
데이터베이스 설계
데이터베이스 설계시 고려사항
무결성 : 연산 후에도 저장된 데이터가 제약조건을 만족
일관성 : 데이터들 간의 사이나 특정 질의에 대한 응답이 항상 일정
회복 : 장애 발생 시, 이전 상태로 복구가 가능
보안 : 해킹이나 사고로 부터 데이터가 보호되어야 함
효율성 : 응답시간 단축, 시스템의 생산성, 저장공간의 최적화가 가능해야함
데이터베이스 확장 : 데이터베이스 운영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지속적인 데이터 추가가 가능해야함
데이터베이스 설계 순서
1) 요구조건 분석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사람들로부터 필요한 용도 파악
필요한 데이터, 흐름, 제약조건 수집
2) 개념적 설계 (정보 모델링, 개념화)
현실 세계에 대한 인식을 추상적 개념으로 표현하는 과정
DBMS에 독립적인 개념스키마를 설계
독립적인 ER 다이어그램 작성
3) 논리적 설계 (데이터 모델링)
특정 DBMS가 지원하는 논리적 자료구조로 변환(Mapping)시키는 과정
4) 물리적 설계(데이터 구조화)
논리적 구조로 표현된 데이터를 디스크 등의 물리적 저장장치에 저장할 수 있는 물리적 구조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
5) 구현
논리적 설계와 물리적 설계에서 도출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파일로 생성하는 과정
참고자료
'자격증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기본개념 (0) | 2021.10.01 |
---|---|
[정보처리기사] 데이터 모델 (0) | 2021.09.30 |
[정보처리기사] 데이터 검증 및 오류데이터 측정 (0) | 2021.09.30 |
[정보처리기사] 프로젝트 관리 (Project Management) (0) | 2021.09.29 |
[정보처리기사] 소프트웨어 개발 표준 및 프레임워크 (0) | 2021.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