람다는 파라미터로 코드를 넘기는 기술이다. 사과를 분류하는 메소드가 있다. 메소드는 사과를 분류하는 로직을 갖는데, 로직은 정부정책에 따라 매번 바뀐다고 가정하자. 매번 바뀌는 로직 때문에 메소드를 매번 수정하기는 번거로우니 분류 로직만 변경하고 싶다. 이때, 로직을 간편하게 넘길 수 있는 기술이 '람다'이다. 파라미터로 '로직'만 넘겨받으면 메소드는 어떤 수정도 할 필요가 없다. 정책에 따라 파라미터로 넘겨받는 로직만 달리하면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파라미터도 일종의 '변수'로 원시타입이나 참조타입만 들어갈 수 있다. '코드'가 들어갈 수 없다. 그래서 JAVA는 함수형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 함수형 인터페이스란, 메소드가 하나밖에 없는 인터페이스이다. 하나밖에 없는 메소드는 '함수'이다. 람다는 함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