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682

[JPA] 엔티티 매핑 - @Entity, @Table, @Column

엔티티매니저에 의해 생성된 엔티티는 DB의 테이블과 매핑된다. 매핑 작업은 JPA프레임워크가 담당한다. 개발자가 해야할 일은 어떤 엔티티가 어떤 테이블과 매핑되어야 하는지, 어떤 필드가 기본키인지, 어떤 필드가 어떤 컬럼과 매핑되어야 하는지를 '표시' 하는 작업이다. '표시'는 '어노테이션'으로 이루어진다. [JAVA] 어노테이션( Annotation )이란? 어노테이션(Annotation)은 무엇일까? 어노테이션은 '주석'이다. JVM이 읽는 주석이다. 주석이 필요한 이유가 무엇일까? 철학책과 과학책이 있다. 과학책은 과학코너로 철학책은 철학코너로 분류하고 lordofkangs.tistory.com 어노테이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위 포스팅을 참고 바란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매핑작업에 사용되는 가장 기..

Dev/JPA 2023.05.31

[CodingTest] 효율적인 화폐구성 ( dp )

◎문제 N가지 종류의 화폐가 있다. 이 화폐들의 개수를 최소한으로 이용해서 그 가치의 합이 M원이 되도록 하려고 한다. 이때 각 화폐는 몇 개라도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한 화폐의 구성은 같지만 순서만 다른 것은 같은 경우로 구분한다. 예를 들어 2원, 3원 단위의 화폐가 있을 때는 15원을 만들기 위해 3원을 5개 사용하는 것이 가장 최소한의 화폐 개수이다. - 입력 조건 첫째 줄에 N,M이 주어진다(1

문제풀이 2023.05.31

[CodingTest] 바닥공사 ( dp )

◎ 문제 가로의 길이가 N, 세로의 길이가 2인 직사각형 형태의 얇은 바닥이 있다. 태일이는 이 얇은 바닥을 1 X 2의 덮개, 2 X 1의 덮개, 2 X 2의 덮개를 이용해 채우고자 한다. 이 때 바닥을 채우는 모든 경우의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예를 들어, 2X3 크기의 바닥을 채우는 경우의 수는 5가지이다. - 입력 조건 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 (1 ≤ N ≤ 1,000) - 출력 조건 첫째 줄에 2 X N 크기의 바닥을 채우는 방법의 수를 796,796으로 나눈 나머지를 출력한다. - 입력 예시 3 - 출력 예시 5 ◎ 문제풀이 작은 타일로 큰 영역을 채우는 문제이다. 부분으로 목표를 만드는 문제이므로 DP를 연상할 수 있다. 영역은 NX2로 세로는 고정되어 있고 가로길이가 동적으..

문제풀이 2023.05.30

[JAVA] 어노테이션( Annotation )의 속성

[JAVA] 어노테이션( Annotation )이란? (1) 어노테이션(Annotation)은 무엇일까? 어노테이션은 '주석'이다. JVM이 읽는 주석이다. 주석이 필요한 이유가 무엇일까? 철학책과 과학책이 있다. 과학책은 과학코너로 철학책은 철학코너로 분류하고 lordofkangs.tistory.com 이전 포스팅에서 어노테이션의 개념을 알아보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어노테이션의 속성을 다루어보겟다. 어노테이션의 속성 어노테이션은 '특정한 로직'이 처리되어야 하는 대상에 남기는 '표시'이다. '표시'를 남길 때, 단순히 '@' 하나로만 남기면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 조금 더 세밀한 작업을 위해서는 구체적인 데이터를 담아야 하는데, 어노테이션의 속성이 그 역할을 한다. 속성은 추상메소드로 구현..

Dev/JAVA 2023.05.29

[JAVA] 어노테이션( Annotation )이란?

어노테이션(Annotation)은 무엇일까? 어노테이션은 '주석'이다. JVM이 읽는 주석이다. 주석이 필요한 이유가 무엇일까? 철학책과 과학책이 있다. 과학책은 과학코너로 철학책은 철학코너로 분류하고 싶다. 그런데 철학책과 과학책은 외관으로 구분하기 어렵다. 그래서 색상 인식 분류기를 하나 구매했다. 색상인식분류기가 구분할 수 있도록 과학책 오른쪽 상단에 '파란원' 표시를 남겼다. 파란원이 있는 책은 과학코너로 분류되어야 한다. 어노테이션은 '파란원'과 같다. 클래스는 모두 구조가 같다. 모두 필드와 메소드로 구성되어 있다. 외관으로는 구분이 안되나 클래스의 목적은 제각기 다르다. 그래서 개발자는 처리를 달리하고 싶은 대상에 어노테이션을 표시해 JVM에게 알려준다. @Entity @Entity publ..

Dev/JAVA 2023.05.29

[CodingTest] 미로탈출 ( bfs )

◎ 문제 N x M 크기의 직사각형 형태의 미로에 여러 마리의 괴물이 있어 이를 피해 탈출해야 한다. 현재 위치는 (1, 1)이고 미로의 출구는 (N,M)의 위치에 존재하며 한 번에 한 칸씩 이동할 수 있다. 괴물이 있는 부분은 0으로, 괴물이 없는 부분은 1로 표시되어 있다. 미로는 반드시 탈출할 수 있는 형태로 제시된다. 탈출하기 위해 움직여야 하는 최소 칸의 개수를 구하라. 칸을 셀 때는 시작 칸과 마지막 칸을 모두 포함해서 계산한다. - 입력조건 첫째 줄에 두 정수 N, M(4 =m or y < 0 : return False else : return True q=deque() # 큐생성 q.append((0,0)) # 시작점 while q : pointX,pointY = q.popleft() # ..

문제풀이 2023.05.29

[CodingTest] 게임 개발 ( 구현 )

◎ 문제 현민이는 게임 캐릭터가 맵 안에서 움직이는 시스템을 개발 중이다. 캐릭터가 있는 장소는 1 X 1 크기의 정사각형으로 이뤄진 N X M 크기의 직사각형으로, 각각의 칸은 육지 또는 바다이다. 캐릭터는 동서남북 중 한 곳을 바라본다. 맵의 각 칸은 (A, B)로 나타낼 수 있고, A는 북쪽으로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 B는 서쪽으로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이다. 캐릭터는 상하좌우로 움직일 수 있고, 바다로 되어 있는 공간에는 갈 수 없다. 캐릭터의 움직임을 설정하기 위해 정해 놓은 매뉴얼은 이러하다. 현재 위치에서 현재 방향을 기준으로 왼쪽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방향)부터 차례대로 갈 곳을 정한다. 캐릭터의 바로 왼쪽 방향에 아직 가보지 않은 칸이 존재한다면, 왼쪽 방향으로 횐전한 다음 ..

문제풀이 2023.05.26

[CodingTest] 왕실의 나이트 ( 구현 )

◎ 문제 행복 왕국의 왕실 정원은 체스판과 같은 8 × 8 좌표 평면이다. 왕실 정원의 특정한 한 칸에 나이트가 서있다. 나이트는 매우 충성스러운 신하로서 매일 무술을 연마한다 나이트는 말을 타고 있기 때문에 이동을 할 때는 L자 형태로만 이동할 수 있으며 정원 밖으로는 나갈 수 없다 나이트는 특정 위치에서 다음과 같은 2가지 경우로 이동할 수 있다 수평으로 두 칸 이동한 뒤에 수직으로 한 칸 이동하기 수직으로 두 칸 이동한 뒤에 수평으로 한 칸 이동하기 이처럼 8 × 8 좌표 평면상에서 나이트의 위치가 주어졌을 때 나이트가 이동할 수 있는 경우의 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왕실의 정원에서 행 위치를 표현할 때는 1부터 8로 표현하며, 열 위치를 표현할 때는 a 부터 h로 표현한다 c2에 있을 ..

문제풀이 2023.05.26

[CodingTest] 1이 될때까지 ( greedy )

◎ 문제 어떠한 수 N이 1이 될 때까지 다음의 두 과정 중 하나를 반복적으로 선택하여 수행하려고 한다. 단, 두번째 연산은 N이 K로 나누어떨어질 때만 선택할 수 있다. 1. N에서 1을 뺀다. 2. N을 K로 나눈다. 예를 들어 N이 17, K가 4라고 가정하자. 이때 1번의 과정을 한 번 수행하면 N은 16이 된다. 이후에 2번의 과정을 두 번 수행하면 N은 1이 된다. 결과적으로 이 경우 전체 과정을 실행한 횟수는 3이 된다. 이는 N을 1로 만드는 최소 횟수이다. N과 K가 주어질 때 N이 1이 될 때까지 1번 혹은 2번의 과정을 수행해야 하는 최소 횟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 입력조건 첫째 줄에 N(2≤ N ≤ 100,000)과 K(2≤ K ≤ 100,000)가 공백으로 구분되며 ..

문제풀이 2023.05.26

[CodingTest] 숫자카드게임 ( greedy )

◎ 문제 숫자 카드 게임은 여러 개의 숫자 카드 중에서 가장 높은 숫자가 쓰인 카드 한 장을 뽑는 게임이다. 단, 게임의 룰을 지키며 카드를 뽑아야 하고 룰은 다음과 같다. 1. 숫자가 쓰인 카드들이 N X M 형태로 놓여 있다. 이때 N은 행의 개수를 의미하며, M은 열의 개수를 의미한다. 2. 먼저 뽑고자 하는 카드가 포함되어 있는 행을 선택한다. 3. 그다음 선택된 행에 포함된 카드들 중 가장 숫자가 낮은 카드를 뽑아야 한다. 4. 따라서 처음에 카드를 골라낼 행을 선택할 때, 이후에 해당 행에서 가장 숫자가 낮은 카드를 뽑을 것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가장 높은 숫자의 카드를 뽑을 수 있도록 전략을 세워야 한다. 카드들이 N X M 형태로 놓여 있을 때, 게임의 룰에 맞게 카드를 뽑는 프로그램을 만..

문제풀이 2023.0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