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669

[운영체제] 메모리 분할 ( Memory Partioning ) [ 비연속 메모리 할당 ]

[운영체제] 메모리 분할 ( Memory Partioning ) [ 연속 메모리 할당 ] 다수의 프로세스에게 메모리를 분할해줘야 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연속 메모리 할당 방식의 메모리 분할법을 다루겠다. 연속 메모리 할당이란? 프로세스의 구성요소가 메모리에 연속된 주소 lordofkangs.tistory.com 지난 포스팅에서는 연속 메모리 할당방식에서의 메모리 분할기법을 알아보았다. 이번 포스팅은 실제 환경에서 사용되는 비연속 메모리 할당방식의 메모리 분할 기법을 알아보겠다. 비연속 메모리 할당 비연속 메모리 할당은 프로그램의 코드가 메모리에 비연속적으로 할당되는 방식을 의미한다. 페이징기법 (Paging) 주기억장치를 고정된 크기의 파티션으로 나누고 프로세스 또한 같은 고정된 크기의 조각으로 나눈다..

CS/OS 2021.10.29

[인공지능] 전문가시스템

지금껏 포스팅했던 '탐색'으로 구현한 인공지능은 절차적 코드를 사용한다. 그러나 지능은 '탐색'으로만 구현되지 않는다. 전문가 시스템은 코드가 아닌 규칙으로 표현된 지식을 이용하여 좀 더 복잡한 문제를 해결한다. 전문가 시스템 이미 습득한 지식을 이용하여 새로운 사실을 추론하는 방법이다. 생성규칙(Production Rules) 데이터 : 사실 ( True ) ( ex. 신호등, 빨간색 ) 정보 : 의미 있는 사실 ( True ) ( ex. 신호등이 빨간색이다. ) 지식 : 추론을 위한 정보 ( True or False ) ( ex. 신호등이 빨간색이면 멈추어야 한다. ) EX. ) 자동차가 움직이지 않는다. AND 연료탱크가 비웠다. ( 상황 ) THEN 자동차에 연료를 급유한다. ( 결론 ) ( 상황..

CS/인공지능 2021.10.29

[빅데이터] 빅데이터의 역할과 활용

빅데이터의 역할 빅데이터는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고 위험을 해결하는 엔진 통찰력, 대응력, 경쟁력, 창조력을 향사시켜 국가의 지속적 발전을 성취할 수 있는 전략 수립이 필요 미래사회의 특성 미래사회 특성 빅데이터 역할 불확실성 통찰력 제공 ( 패턴 분석 및 미래 전망 ) 리스크 대응력 제공 ( 빠른 의사결정과 실시간 대응 지원 ) 스마트 경쟁력 제공 ( 개인화, 지능화 서비스 제공 ) 융합 창조력 제공 ( 타분야와 결합을 통한 새로운 가치 창출 ) 성공적인 빅데이터 활용조건 ( 맥아피와 브린욜프손이 제시 ) 1) 리더십 분명한 목표설정과 추친력을 가진 리더가 필요 2) 역량관리 데이터의 정제(Cleanin)와 조직화(Organizing)하는 처리과정이 필요 3) 기술 도입 조직의 내외부 데이터를 통합하고 ..

CS/빅데이터 2021.10.29

[빅데이터] 빅데이터의 가치

비정형 데이터의 가치가 증가하면서 데이터 처리 복잡도가 날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Gartner 사의 2021년 9대 전략 기술 트렌드 ▷ 개인정보보호 강화 컴퓨팅 ( Privacy-Enhancing Computing ) : 안전한 데이터 처리 및 분석 지원 1) 민감한 데이터 처리 및 분석을 위한 환경 제공 2) 페더레이티드 머신러닝을 비롯한 탈중앙화 방식 처리 3) 데이터와 알고리즘을 변환한 후 처리 및 분석 기반 데이터에 직접 액세스를 막고 데이터를 모아 공동 분석할 수 환경을 제공 ▷ 행동인터넷( IOB; Internet of Behavior ) 전략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해 원하는 행동을 유도하도록 동기 유발에 사용, 행동을 물리적 디지털로 표현 ▷ 토털 경험(Total Experinece) 전..

CS/빅데이터 2021.10.29

[빅데이터] 비지니스 모델

비지니스 모델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경제적 수익을 창출 할 수 있는 모든 사업의 형태 ▷ 교육 및 컨설팅 모델 빅데이터 관련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 비지니스 모델 개인에게는 금융컨설팅과 건강관리 컨설팅 등이 있고 기업에게는 고객 결제 정보 분석 및 상권 분석 컨설팅이 있다. ▷ 솔루션 및 도구 공급 관련 비즈니스 모델 1) H/W 부분 빅데이터 수집, 저장, 분석을 위한 하드웨어 장비 2) S/W 부분 빅데이터용 수집, 저장 , 분석툴들을 개발하여 공급하는 실정 Oracle : 세계적인 DB업체 하이페이론사를 인수하여 분석 기술 확보 Microsoft : Hadoop on Window, Hadoop on Azure 출시 예정 ▷ 빅데이터 판매 비지니스 모델 다양성, 대용량, 빠른 데이터 생성에 따라 다량..

CS/빅데이터 2021.10.29

[빅데이터] 빅데이터의 이해

빅데이터가 이슈화 이유 1) 모바일 스마트 기기 보급 활성화 ( 센서, 원결 감지 기술, 카메라, RFID ) 2) 클라우드 서비스 3) 소셜 미더의 활용의 일상화 ( 상호작용 데이터 증가 ) 빅데이터 특징 1) 규모(Volumn) : 디지털 정보량 기하급수적 증가 2) 다양성(Variety) : 비정형화된 데이터 유형의 다양화 3) 속도(Velocity) : 사물정보나 스트리밍 같은 실시간 정보 증가 4) 정확성(Veracity) : 방대한 데이터들을 기반으로 분석 수행▷ 5) 가치(Value) : 통찰력 있는 유용한 정보 제공 기존 데이터 방식과 현재 데이터 방식의 차이 기존 데이터 처리방식 빅데이터 처리방식 테라바이트 수중 페타바이트 수준 정형데이터 비정형데이터 원인결과 규모 중심 상관관계 규명 중..

CS/빅데이터 2021.10.29

[인공지능] 게임트리 ( 알파베타 가지치기 )

[인공지능] 게임트리 ( MiniMax 알고리즘 ) 인공지능에게 게임이란? 게임은 추상적으로 정의가능하며 비교적 적은 연산자를 가진다. 게임의 인공지능 구현은 지적 능력과 관련있다고 여겨진다. 게임 조건 - 경기자는 두 명 - 제로썸 게임 ( lordofkangs.tistory.com 지난 포스팅에서 MiniMax 알고리즘을 다루었다. MiniMax 알고리즘은 게임트리의 모든 노드를 탐색하여 결과를 예측한다. 그러나 모든 노드를 탐색할 필요는 없다. 게임트리의 노드는 동적으로 생성되기에 적절한 조건문을 부여하면 필요없는 탐색을 줄일 수 있다. 이를 구현한 알고리즘이 알파-베타 가지치기(Alpha-Beta Pruning)이다. 알파-베타 가지치기(Alpha-Beta Pruning) 알파-베타 가지치기는 M..

CS/인공지능 2021.10.27

[인공지능] 게임트리 ( MiniMax 알고리즘 )

인공지능에게 게임이란? 게임은 추상적으로 정의가능하며 비교적 적은 연산자를 가진다. 게임의 인공지능 구현은 지적 능력과 관련있다고 여겨진다. 게임 조건 - 경기자는 두 명 - 제로썸 게임 ( 승자와 패자가 나뉨 ) - 차례대로 수를 둠 MiniMax 알고리즘 경기자는 최상의 수를 선택한다는 가정 하에 결과를 예측하는 알고리즘이다. - 경기자 Max : 항상 큰 값을 선택한다. Min : 항상 작은 값을 선택한다. - 알고리즘 1) 경우의 수 펼치기 ( Top-down ) 위 그림은 depth가 4인 게임트리이다. 게임 참여자가 둘 수 있는 경우를 모두 노드로 표현한다. 그리고 상대가 최적의 수를 둔다는 판단하에 게임결과를 예측하는 것이다. A 경우부터 보자. A 경우에서 Max는 B 경우와 C 경우를 선..

CS/인공지능 2021.10.26

[운영체제] 메모리 분할 ( Memory Partioning ) [ 연속 메모리 할당 ]

연속 메모리 할당이란? 프로세스의 구성요소가 메모리에 연속된 주소로 저장되는 방식을 연속 메모리 할당이라 부른다. 연속 메모리 할당에는 두 가지 메모리 분할 방식이 존재한다. 1. 고정 분할 2. 동적 분할 고정 분할 고정분할은 시스템 생성시 주기억장치가 이미 특정 크기로 고정된 파티션들로 분할되는 방식이다. ▷ 균등분할 : 모든 파티션의 크기가 일정 1. 프로세스 크기 > 파티션 고정 크기 프로세스가 파티션보다 크면 프로세스를 모듈 단위로 나누어 디스크와 주기억장치 사이에서 할당을 제어하는 오버레이(Overlay) 기법이 사용되어야 한다. 그만큼 오버헤드가 증가한다. 2. 프로세스 크기 < 파티션 고정 크기 파티션을 프로세스가 효율적으로 사용못하고 공간이 남는 내부단편화 문제가 생긴다. ▷ 비균등분할 ..

CS/OS 2021.10.26

[인공지능] A* 알고리즘

[인공지능] 언덕 등반 기법 (Hill-Climbing) 경험적인 탐색 방법 정보를 기반으로 탐색하는 알고리즘이다. 휴리스틱 정보(Heuristic Information)를 이용하여 휴리스틱 탐색 방법으로도 불린다. * 휴리스틱 정보 : 사람이 유용할거라 판단한 정보 lordofkangs.tistory.com 언덕 등반 기법은 지역 최대-최소 문제가 발생했다. 오로지 현재노드의 휴리스틱 정보만을 기준으로 DFS 탐색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지역 최대-최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법이 A* 알고리즘이다. A* 알고리즘 언덕 등반 기법의 단점은 시작노드에서 목표노드까지 가는 '비용'을 고려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A* 알고리즘의 평가함수는 '비용'을 추가한다. F(N) = G(N) + H(N)(휴리스틱 ..

CS/인공지능 2021.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