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72

[운영체제] 페이지 크기가 미치는 영향

페이지 크기는 하드웨어 설계의 중요한 요소이다. 페이지 크기가 많은 요소에 영향을 끼친다. 1. 페이지 테이블 크기 2. 프레임 내부 단편화 3. 참조지역성 효과 4. 입출력 시간 효율성 1. 페이지 테이블 크기 지난 포스팅에서 구체적으로 다루어 보았다. [운영체제] 가상메모리와 페이징 기법 [운영체제] 가상메모리 기법 [운영체제] 메모리 분할 ( Memory Partioning ) [ 비연속 메모리 할당 ] [운영체제] 메모리 분할 ( Memory Partioning ) [ 연속 메모리 할당 ] 다수의 프로세스에게 메모리를 분할해 lordofkangs.tistory.com 2. 프레임 내부 단편화 페이지를 크게 나누면 프로세스 블록이 페이지를 모두 채우지 못하는 내부단편화가 발생할 수 있다. 내부단편화..

CS/OS 2021.11.16

[운영체제] TLB ( Translation Lookaside Buffer )

가상 메모리 기법은 메모리 참조시, 논리주소를 동적으로 물리주소로 변환하여 참조한다. 최소 두 번의 참조가 발생한다. 1) 페이지 테이블 참조 2) 실기억장치 참조 두 번의 참조는 두 배의 메모리 접근 시간이 걸리도록 만든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TLB( Tranlation Lookaside Buffer) 즉, 고속 캐시를 사용한다. TLB TLB는 고속 캐시이다. 즉, 하드웨어다. TLB는 병렬판독회로(하드웨어)가 있어 원하는 페이지를 단번에 찾을 수 있다. 이를 연관사상이라 한다. 굉장히 빠르다. 가장 최근에 참조된 페이지를 TLB에 저장한다. 특정 페이지가 필요 시, 먼저 TLB를 검사한다. 적중(HIT)하면 바로 물리주소로 변환하여 주기억장치에 접근한다. 적중(HIT)하지 않으면 OS는 페이..

CS/OS 2021.11.16

[운영체제] 가상메모리 기법

[운영체제] 메모리 분할 ( Memory Partioning ) [ 비연속 메모리 할당 ] [운영체제] 메모리 분할 ( Memory Partioning ) [ 연속 메모리 할당 ] 다수의 프로세스에게 메모리를 분할해줘야 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연속 메모리 할당 방식의 메모리 분할법을 다루겠다. 연속 메 lordofkangs.tistory.com 지난 포스팅에서 프로세스를 주기억장치에 할당하는 방법을 다루었다. 프로세스 전부를 주기억장치에 할당하면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만약 두 가지 조건을 만족하면 필요하지 않은 블록은 보조기억장치로 보낼 수 있다. 가상메모리 기법 운용 조건 1) 프로세스의 메모리 참조는 논리주소로 이루어지고 동적으로 물리주소로 변환된다. 물리주소는 실제 블록이 메모리에..

CS/OS 2021.11.15

[인공지능] 베이즈 정리 ( Bayes' theorem )

[인공지능] 전문가시스템 지금껏 포스팅했던 '탐색'으로 구현한 인공지능은 절차적 코드를 사용한다. 그러나 지능은 '탐색'으로만 구현되지 않는다. 전문가 시스템은 코드가 아닌 규칙으로 표현된 지식을 이용하여 좀 더 lordofkangs.tistory.com 지난 포스팅에서 '전문가 시스템'을 다루어 보았다. 전문가 시스템은 전문가가 지식베이스에 전문지식을 넣으면 추론 엔진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추론하는 시스템이다. 그러나 과연 전문가가 넣은 지식이 100% 정확한 정보일까? 현실세계의 대부분의 정보는 '불확실'하다. 그러므로 우리는 불확실한 정보를 가지고도 올바른 결정을 내릴 수 있어야 한다. [인공지능] 조건부 확률 이번 포스팅에서는 '베이지 정리'를 이해하기 위한 기본적인 확률 개념을 다루어 볼 ..

CS/인공지능 2021.11.02

[인공지능] 조건부 확률

이번 포스팅에서는 '베이지 정리'를 이해하기 위한 기본적인 확률 개념을 다루어 볼 것이다. ( 베이지 정리는 다음 포스팅에서 다룰 것이다. ) 확률이론 ( probability theory ) 인공지능 시스템에서 불확실한 정보를 갖고도 올바른 결정을 내리려면 '확률'이 필요하다. 확률이란, 특정 사건이 발생할 비율이다. 확률적 추론에서는 가장 높은 확률이 결론으로 선택된다. 상호배타성 절대 동시에 일어날 수 없는 두 사건 ( p , q ; p + q = 1 ) 독립사건 사건 p가 일어나도 사건 q의 확률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 독립사건이다. 조건부 확률 두 사건 ( A, B )이 상호배타적이지 않을 때 ( A 와 B는 동시에 일어날 수 있음 ) 사건 B가 발생했을 때 (조건부), 사건 A가 발생할 확률 결..

CS/인공지능 2021.11.01

[인공지능] 퍼지논리 ( fuzzy logic )

[인공지능] 지식표현방법 ( 명제논리, 술어논리 ) 명제논리 참 또는 거짓을 판별 할 수 있는 문장 P : 마트는 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영업한다. ( 지식 ) Q : 오늘은 월요일이다. ( 사실 ) R : 마트는 오늘 영업한다. ( 추론된 사실 ) 새로운 '사실'을 lordofkangs.tistory.com 명제는 참 또는 거짓으로 표현하지만 실제 세계는 그렇지 않다. 인간은 모호한(fuzzy) 표현을 자주 사용한다. 퍼지 논리란, 모호한 표현을 명확하게 표현하는 방법이다. 명제 논리 - 키가 크다. ( 1 ) - 키가 작다. ( 0 ) 퍼지 논리 - 키가 매우 큼 ( 1.0 ) - 키가 큼 ( 0.8 ) - 키가 약간 큼 ( 0.6 ) - 키가 작음 ( 0.0 ) 퍼지 논리는 '참'과 '거짓'이 아닌 ..

CS/인공지능 2021.11.01

[인공지능] 지식표현방법 ( 명제논리, 술어논리 )

명제논리 참 또는 거짓을 판별 할 수 있는 문장 P : 마트는 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영업한다. ( 지식 ) Q : 오늘은 월요일이다. ( 사실 ) R : 마트는 오늘 영업한다. ( 추론된 사실 ) 새로운 '사실'을 추론할 수는 있지만 새로운 '지식'을 만들 수는 없다. 논리 연산자 Q : 오늘은 일요일이다. NOT Q : 오늘은 일요일이 아니다. J : 옷은 파랑색이다. K : 옷은 스트라이프 무늬가 있다. J AND K : 옷은 파란색이고 스트라이프 무늬가 있다. 함축 : A → B A문장이 B를 함축한다. A 문장은 B를 함축한 문장이다 고로, A가 참일때 B는 반드시 참이 되어야 한다. A가 참일때 B가 거짓이면 거짓이다. A가 거짓이라면 B도 거짓일 수 있다. ( 참 ) A가 거짓이어도 B는 참일..

CS/인공지능 2021.10.30

[인공지능] 지식표현방법 ( 의미망, 프레임 )

지식은 인공지능의 중요한 요소이다. 지식표현방법 1) 절차적모델 : 행동이나 절차를 표현 ( 규칙 ) 3) 선언적모델 : 사실이나 주장을 표현 ( 논리, 의미망, 프레임 ) 의미망 ( Semantic Network ) 방향그래프를 활용하여 개념 간의 관계를 표현 is a : ~의 일종이다. has : ~를 가지고 있다. 의미망은 인과관계를 표현하기에 좋지만 관계가 많아지면 유지보수가 복잡해진다. 표준지침이 없어 보편화된 표현방법이 없다. 프레임 ( Frame ) '객체(Object)'의 인공지능식 표현, 특정 객체에 속하는 속성을 표현하는 방법 슬롯은 속성을 의미한다. 슬롯의 값은 디폴트값 외에도 다른 프레임을 가리키는 프레임포인터나 슬롯에 이벤트( 요구, 변경, 제거 등)가 발생했을 때 동작하는 프로시..

CS/인공지능 2021.10.30

[운영체제] 메모리 분할 ( Memory Partioning ) [ 비연속 메모리 할당 ]

[운영체제] 메모리 분할 ( Memory Partioning ) [ 연속 메모리 할당 ] 다수의 프로세스에게 메모리를 분할해줘야 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연속 메모리 할당 방식의 메모리 분할법을 다루겠다. 연속 메모리 할당이란? 프로세스의 구성요소가 메모리에 연속된 주소 lordofkangs.tistory.com 지난 포스팅에서는 연속 메모리 할당방식에서의 메모리 분할기법을 알아보았다. 이번 포스팅은 실제 환경에서 사용되는 비연속 메모리 할당방식의 메모리 분할 기법을 알아보겠다. 비연속 메모리 할당 비연속 메모리 할당은 프로그램의 코드가 메모리에 비연속적으로 할당되는 방식을 의미한다. 페이징기법 (Paging) 주기억장치를 고정된 크기의 파티션으로 나누고 프로세스 또한 같은 고정된 크기의 조각으로 나눈다..

CS/OS 2021.10.29

[인공지능] 전문가시스템

지금껏 포스팅했던 '탐색'으로 구현한 인공지능은 절차적 코드를 사용한다. 그러나 지능은 '탐색'으로만 구현되지 않는다. 전문가 시스템은 코드가 아닌 규칙으로 표현된 지식을 이용하여 좀 더 복잡한 문제를 해결한다. 전문가 시스템 이미 습득한 지식을 이용하여 새로운 사실을 추론하는 방법이다. 생성규칙(Production Rules) 데이터 : 사실 ( True ) ( ex. 신호등, 빨간색 ) 정보 : 의미 있는 사실 ( True ) ( ex. 신호등이 빨간색이다. ) 지식 : 추론을 위한 정보 ( True or False ) ( ex. 신호등이 빨간색이면 멈추어야 한다. ) EX. ) 자동차가 움직이지 않는다. AND 연료탱크가 비웠다. ( 상황 ) THEN 자동차에 연료를 급유한다. ( 결론 ) ( 상황..

CS/인공지능 2021.10.29